재테크를 하게되면 많이 듣는 단리,복리
단리는 원금에 한번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며, 복리는 이자의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단리와 복리효과는 단기간으로 볼때는 차이가 없지만 장기간으로 보면 엄청난 차이를 보여주는데요.
발명왕 아인슈타인은 노벨상을 받을 때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 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복리라고 말을 했으며 석유왕 존 록펠러는 복리는 세상의 8번째 불가사의 라고 말을 했습니다.
그럼 복리효과란 무엇인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복리효과란?
<예시> 개리와 지효는 결혼을 생각하고 목돈 만들기에 나섰습니다.
2000만원을 저축해서 매년 20%의 이자를 받는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처음에는 1년에 400만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만약 여기서 이자 400만원을 떼어놓고 다음해에 다시 2000만원만 저축해서 20%의 이자를 노린다면
개리와 지효의 재산은 1년 후 2400만원, 다음해에는 2800만원,
그 다음해에는 3200만원 이런식으로 매년 자산이 400만원씩 늘어나게 됩니다.
이처럼 원금자산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 '단리' 라고 합니다.
그럼 이자로 받는 자산을 전부 재투자 하면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처음해의 이자인 400만원을 원금2000만원과 합쳐 2400만원을 20%의 이자로
저축하면 1년후 개리와 지효의 재산은 1년 후 480만원이 늘어납니다.
즉, 원금이 2880만원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 자산을 다시 저축하면 이자576만원이 붙어서
원금이 3456만원으로 늘어납니다. 단리와는 다르게 이자에 이자까지 붙는 방식을 '복리' 라고 합니다.
저축을 시작한 원금도 같고 이자도 같은데 단리와 복리의 수익은 3년기준
256만원이나 차이가 나게 됩니다. 10년뒤에는 단리와 복리의 격차는 엄청나게 나게 됩니다.
+
예시로 알려드린것처럼 복리와 단리의 차이는 엄청나네요.
저축만으로도 큰 금액을 만들수 있으며 저축은 빨리 할수록 좋다는 부자들의 말이 괜히
나오는말이 아닌듯합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장기간 저축을 하며 투자를 병행하면 부자는
먼 이야기가 아니구나 생각됩니다 ^^
'재테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의 법칙 + 복리계산 쉽게하는방법 (0) | 2013.04.24 |
---|---|
국민행복기금자격조건 + 국민행복기금신청방법 (0) | 2013.04.23 |
20대재테크 사회초년생 저축노하우 (0) | 2013.04.20 |
월급통장추천 - CMA통장 장단점 + CMA금리비교 (0) | 2013.04.20 |
청약통장 1순위조건 (0) | 201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