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형저축이라고 들어보셨나요?
1995년도에 폐지되었다가 올해 3월에 부활한 금융상품입니다.
한참 이슈였을정도로 재형저축의 열풍이 장난 아니였죠.
저도 얼마전 월급통장을 개설하러갔다가 재형저축 가입하라고 은행원이 권유를 하더라구요?
하지만 듣기만 했지 제대로된 정보가 없어서 선뜻 가입은 못하고
아 그건 좀 생각을 해보려구요^^ 이렇게 말하고 아직도 망설이고 있답니다.
저 처럼 망설이시거나 재형저축에 대한 옳바른 정보를 원하신분들을 위해서 찾아봤습니다.
그럼,재형저축 이란 무엇이며 장단점이 뭔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재형저축이란?
재형저축은 " 근로자 재산형성 저축' 의 줄임말입니다.
저소득, 근로자, 중산층의 재산형성을 위한 상품으로
연소득 5천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천500백만원 이하의 개인사업자가 가입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득이 없는분들이나 소득이 많이신 분들은 가입을 못한다고 합니다.
재형저축의 열풍이 불었던 이유는 비과세 혜택때문인거 같은데요.
일반적인 금융상품인 적금과 예금의 대한 이자 세율이 15.4%이지만 비과세는 이 세금을 전혀 내지는 혜택입니다.
재형저축은 최소 7년 - 최대 10년까지 비과세 혜탁을 제공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재형저축의 장단점
재형저축의 장점
1. 가입 당시의 조건인 연봉에서 연봉이 올라도 비과세혜택을 만기까지 계속 받을 수 있다.
2. 세대별 합산이 아니라 한 사람당의 과세를 기준으로 하기 떄문에 부부가 소득기준이 맞다면 각자 가입 가능
3. 납입한도는 분기별 300만원, 연간 1200만원 까지가 최대한도,
최소 7년 - 최대 10년간 비과세혜택을 받으며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재형저축의 단점
1. 최소 7년 이상을 유지해야지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장기 저축상품이다.
2. 중도해지시 이자소득세 ( 14.5% ) 를 반납해야된다
3. 소득공제 혜택이 없으며 3년간 고정금리 3년후 변동금리로 바뀐다.
-
정말 알고 가입하는것과 모르고 무턱대고 가입하는건 하늘과 땅 차이인듯 하네요.
재형저축은 매력이 있는 상품이긴 하지만 은행별 우대금리적용조건들을 보면
빛좋은 개살구 라는 말이 딱 떨어지는것들도 눈에 보입니다.
정말 장기적인 계획으로 가입해야지 남들 전부 다 가입한다고 가입하시면 나중에 크게 후회하실듯합니다.
비과세혜택 받을수 있는 가입기간은 2015.12.31일까지라고 하니 잘생각하고 가입하세요!
'재테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대제테크 목돈모으는 습관을 만들자 (0) | 2013.04.20 |
---|---|
국민임대주택 입주조건과 입주자격 (0) | 2013.04.20 |
부자들의 좋은습관 7가지 (0) | 2013.04.16 |
재테크/팁] 각종 공과금 할인혜택 + 공과금 할인받는 방법 ! (0) | 2013.04.14 |
< 20대 재테크 > 20대 재테크 시작은 통장관리 + 통장나누기 노하우 (0) | 2013.04.13 |